스크린샷 찍으려고 보니 아무도 없음..
0. 작성일?
2023년 6.13. 화요일
1. 오늘 어떤 일을 했는지?
항해99 JS 문법종합반 2, 3주차 정리
블로그 글 3-4개정도 작성 -> this 개념에 대해 좀 많이 찾아봄. 단순하면서 이해가 어려운 개념이라 조금 확인작업이 필요했다.
https://kthdev.tistory.com/137(이건 12일 밤에..)
JS의 String
https://chat.openai.com/share/3c93f263-b068-4c6b-bc75-3de7989b4bcc ChatGPT A conversational AI system that listens, learns, and challenges chat.openai.com 위에는 내가 자바스크립트의 String이 C언어처럼 참조형이 아니고 원시값인게
kthdev.tistory.com
https://kthdev.tistory.com/139
[JS]버그 typeof null 이 object?
다들 버그에 맞게 코드를 써버려서 아직까지 고쳐지 못하고 있는 자바스크립트 버그 typeof '' // string typeof '123' // string typeof 1 // number typeof true // boolean typeof {} // object typeof /test/index // object typeof fu
kthdev.tistory.com
https://kthdev.tistory.com/138 이건 금방 했는데
JS localeCompare()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5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kthdev.tistory.com
https://kthdev.tistory.com/140 (사실 여기서 5-6시간 걸림)
JS this console찍어보기 (JS 3주차 과제 분석)
var fullname = 'Ciryl Gane' var fighter = { fullname: 'John Jones', opponent: { fullname: 'Francis Ngannou', getFullname: function () { return this.fullname; } }, getName: function() { return this.fullname; }, getFirstName: () => { return this.fullname.spl
kthdev.tistory.com
2. 내가 모르는것? 몰랐던 것?
- 즉시실행함수의 개념
- 유사배열객체에 대한 내용(굳이 왜 ??? 왜 배열말고 열심히 저거 만들어서 쓰는지?)
- 함수표현식 (변수에 익명함수를 담아놓은 것을 함수표현식이라고 부름)
- eventloop
- this바인딩
- JS readline
- RESTful API, hashmap, redux, 클로저 -> 앞으로 배울 내용들임.
3. 알게된점? 어떤 성장을 이루어냈는지?
this가 오래걸리긴 했지만 뒤에도 계속 나오는 내용이라 확실하게 정리할 필요성이 있었고, 잘 이해가 되었다고.. 믿음.
Map 자료형은 거의 안쓰나봄.
원시값중에 Bigint라는 첨들어보는(심지어 강의자료에서도 빠져있는) 잊혀진 자료형이 있었음.
성장... 한건 음..
어제보다 아주아주 약간 다방면으로 이해가 되는 느낌이 들었던게,
여기저기서 봤던 사례들이 새로운 개념을 봤을때 이해를 도와주기 시작함.
4. 어떤 삽질을 했는지? 왜?
오늘 사실 콘솔 찍어본거(이건 삽질이라고 하긴 애매함) 말고, 알고리즘하나만 풀어서..
내일부턴 실제 코딩을 같이 해야겠다.
오늘 밤에는 야구게임 하나 조금이라도 건드려보고 자야겠음.
코드 삽질이 중요한건데 삽질을 안했네.
5. 깨달은 점?
파고드는 즐거움을 약간 느끼기 시작함.
그래도 코드를 좀 쓰긴 했었어야 함.
오늘 블로그 방문객에 10배넘게 늘었는데 다들 TIL열심히 쓰고있는것 같음.
책상메모는 오늘도 잘 씀. 근데 이거 TIL로 저녁에 옮겨적지 않으면 하루만 지나도 기억 못할 휘발성 메모임.
개발블로그는 블로그 안꾸며도 됨. 단, 프론트지망자는 예외...... 이건, 추후에 꾸미겠습니다. 그게 우선은 아닌것 같음.
6. 참고링크
아까 특강때 들은 TIL 모범사례